지인께서 PWM드라이버 PCB모듈을 구입하셨는데 볼륨으로 되어 있는 것을 전동스쿠터용으로 했더니 작동하지 않는다고 해 문자메시지로 어떻게 해야 하냐고 물어 왔다.

인공지능에 물어 답변과 그림을 카톡으로 보내 드렸다. 독감으로 방문이 어려우니 동영상을 인쇄회로기판의 부품면과 납땜면을 접사촬영해서 보내주면 회로를 이해하고 어떻게 슬로틀을 접속해야 하는지 알려드릴 수가 있겠다고 했는데 실제 PCB모듈과 슬로틀을 보지 않고는 대응이 어렵다. 인공지능도 그림은 아직 한계가 많은 것 같다.
#인공지능 답변
당신이 하려는 작업은 기존의 아날로그 가변저항(Potentiometer)을 이용한 PWM 제어 방식에서, **홀 센서 기반 스로틀(속도조절기)**로 교체하여 같은 방식으로 PWM 회로를 제어하는 것입니다. 이때 중요한 핵심은 출력되는 전압의 특성과 PWM 회로가 그것을 어떻게 인식하느냐입니다.
1. 기존 가변저항 방식
가변저항은 단순히 전압 분배 방식으로 입력 핀에 아날로그 전압(예: 0~5V)을 제공합니다.
PWM 회로는 이 전압을 ADC로 읽어 PWM 듀티비를 조절합니다.
2. 홀 센서 기반 스로틀
대부분의 전동 킥보드/자전거용 홀센서 스로틀은 3선(전원(Vcc), GND, 출력)으로 구성되며, 출력 전압 범위는 일반적으로 0.8V ~ 4.2V입니다.
출력은 아날로그 전압으로 제공되며, 이를 그대로 PWM 회로의 ADC 입력으로 넣으면 됩니다.
3. 회로 구성 방법
기존 가변저항을 제거하고 홀 센서 스로틀을 다음과 같이 연결합니다.
홀 센서 스로틀 연결 대상 설명
빨간색 (Vcc) +5V (또는 +3.3V) 스로틀의 동작 전원 검은색 (GND) GND 공통 접지
녹색 (Signal) PWM 회로의 ADC 입력 가변저항 중간단자 대신 연결
주의: PWM 회로가 5V 기반인지 3.3V 기반인지 확인하고, 스로틀의 전압 범위가 회로에 적절한지 반드시 확인하세요. 필요시 전압 분배 회로나 OP 앰프 버퍼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4. 추가 고려사항
홀센서 스로틀은 일반적으로 선형 출력을 가지므로, 기존 가변저항과 거의 동일한 방식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 PWM 회로가 단순 아날로그 전압만 인식하는지, 혹은 저항 값을 기준으로 판단하는지 내부 회로를 확인해야 합니다.
요약
> 기존 가변저항의 중간 핀을 제거하고, 홀센서 스로틀의 아날로그 출력 선을 ADC 입력에 연결하면 동일한 속도 제어가 가능합니다.




















NE555의 5번핀에 홀센서출력을 접속하여 PWM폭의 변화를 할수가 있다. 홀센서의 인가전압과 NE555회로의 인가전압을 고려해서 회로구성이 필요하다.
'인공지능(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양광 발전 구조 계산서 (0) | 2025.05.13 |
---|---|
태양광 바비큐기 (0) | 2025.05.11 |
산화바나듐 68도에서 금속으로 급변환 (0) | 2025.05.10 |
남원춘향제 유명인 (0) | 2025.05.06 |
ChatGPT활용 경관조명 야경그림 (0) | 2025.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