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능장실기 60

제77회 실기작업형 JK FF

실기 작업형에 응시했다.납땜작업에 삼십오분 정도 걸린 듯하다. 칩저항기 1005와 칩캐패시터 1005를 핀셋으로 집다가 긴장한 탓인지 수전증이 발동해 튕겨 달아나 찾다가 부품 추가 불출 요구, 납땜을 하고 나니 삼십오분 정도... 총조립에만 두 시간이 경과되었다. 측정을 하려고 전원을 투입하니 오동작을 한다. 회로도 작도까지 제대로 했는데 비정상적인 카운트다. 결국 시간초과되고 불채점 대상... 다음 기회에... 결선을 먼저 하고 IC표기를 늦게 하다 보니 오류가 발생했다. 7408과 7432를 헷갈려 엉뚱하게 배선을 했다.감독위원이 순서가 그러면 실수로 인해 오동작한다고 얘기해 감사하다 했는데....,귀담아 듣지 않았다. IC체커기는 준비를 해가서 부품이 양호함을 확인했다.하반기 78회 실기시험에는 ..

납땜조립연습

30분 이상 걸리던 납땜조립 작업이 19분대로 감소했다.역시 연장 탓을 안 할 수 없다. 납땜인두기의 팁을 뽀쪽한 것으로 하니 어렵지 않았다. 이전에는 두툼한 팁으로 해서 칩부품을 덮을 정도로 불안하고 손 떨리는 작업을 해서 사십여분 걸린 듯하다.연장 탓 다음으로는 부단한 연습 밖에는 없는 것 같다. 걍! 고고싱이다. 강하지역 삼분전!!!

MCP6004대체 LM324 사용 전압강하

MCP6004 대체로 LM324를 사용하여 브레드보드에 지난 76회차 작업형을 조립해 봤다.카운트는 이상이 없는데 D/A(가산증폭)변환부 전단의 출력전압이 낮아 D/A(가산증폭)변환부 최종출력전압이 15카운트 경우 15V가 아닌 11.2V로 낮은 현상이 발생했다. 회로부를 생략하고 카운터 출력신호를 직접입력해도 비슷하다.부품수배가 안되어 임시로 사용하기로 했다.IC부품은 특성이 매우 다르니 실제 회로설계하는 경우는 데이터 시트를 참조해야 실수가 없게 된다.  MCP6004 IC를 LM324로 대체했을 때 DA 변환기 출력 전압이 낮아지는 원인은 몇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다음은 주요 원인과 해결 방법에 대한 설명입니다.1. 레일-투-레일(Rail-to-Rail) 특성 차이:* MCP6004: 레일-투..

D/A컨버터(가산증폭기) 브레드 보드 조립 실험

브레드 보드상에 D/A컨버터(가산증폭기)부를 조립하여 시험을 해봤다. 먼저 16 VDC양전원과 정전압 IC 7805 출력 5 VDC를 준비했다. 4개의 입력에 +5V를 인가하고 가변저항기를 조절하여 15 VDC가 되도록 했다. 전압파형을 관측하고 전압표기 상태를 확인하니 Q4P를 오픈하니 6.99V,QP3을 오픈하니 3.99V,QP2를 오픈하니 2.00V,QP1을 오픈하니 0V의전압이 측정되었다. 실제 작업형 시험 시는 문제지의 주의사항에서 답안 작성 시 반드시 검은색 필기구만 사용하고 TP2의 측정파형은 1~2주기가 나타나도록 하고, 임의 순차카운터의 각 지점 카운터 전압을 반드시 작성해야 한다.

DA컨버터부(가산증폭기) PCB조립품 오동작

PCB를 비용절감 위해 단면으로 패턴을 가늘게 설계했더니 헤더핀을 브레드보드에 삽입시에 핀 휨이 발생해 동박 패턴이 절단되는 현상이 나타나 비정상적인 동작을 실시했다. 한두 개도 아니다. ㅠ핀헤더 부는 핀의 동박패턴을 넓게 했어야 하는데 좁게 했다 납땜패드도 넓게 했어야 하는데 좁게 했다. 다음에 단면 PCB설계시에 유의해야겠다. 아쉬운 대로 납땜조립 연습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만족...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