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자기능장실기 60

전자기기 기능장 실기 연습(1)

2021년도 부터는 실기시험이 필답형 50점, 작업형 50점이다. 정보도 없이 전자캐드 연습만 했으면 떨어지는 것이 당연하다. 지난번 이론합격후 실기접수를 못해 한번 지나가고 두번째는 높은 버젼의 캐드프로그램이고 문제가 어려울줄 알고 회로도를 믿지 않고 하다 첫째시간부터 시간초과였다. 이런 된장! 시간제한은 형평성에 문제인 것 같다. 시간이 걸리더라도 끝내면 되는 것이 아닌지? 지난해 전국적으로 5명 밖에 자격취득자가 없었다 한다. 문제 출제자는 시간적인 배려가 필요하다. 그리고 시대에 맞게 제어사양을 주고 나름대로 회로설계하고 PCB설계하고 샘플만들고 디버깅하고 측정해서 결과를 내야 하지 않나 싶다. 브레드보드 일명 빵판에다가 공개문제를 시간재며 연습을 해보는데 시간여유가 너무 없음을 느낀다. 동작도 ..

전자기기 기능장 실기검정 연습(3)

임의 순차 동기식 4비트 카운터에 대한 예제 2에 대해 브레드보드에 꾸며 보았다. 카르노도맵으로 간소화해서 회로도를 작도하고 실험을 했는데 희안하게 카운트 한다. 카운터조건 8-3-7-15-13-4-9-6-0-5가 되어야 하는데 건너 뛴다. 브레드 보드를 확인해 보니 연결을 하지 못한 것이 발견되어 연결하니 정상적으로 동작을 한다.

전자기기 기능장 실기 작업형 오류개선

상태도의 카운터 조건은 초기값8-3-7-15-13-4-9-6-0-5-8-3-----초기치가 8인데...ㅠ 왜그러지? 15-13-9-6-0---으로 카운트 된다. 원래 그러나? 실기에서 이렇게 되면 순차적으로 동작을 해도 감점요인이 될것이다. 프리셋의 입력조건의 변경이 없이 전부 HIGH상태로 +5V를 인가했다. D-FF의 프리셋단자와 클리어단자를 /RESET에 연결하니 동작을 한다.그런데 불안정하다. 출제된 회로가 정상적이지 않을 수도 있다. 공란의 회로를 스케치 해야 하고 납땜을 해야 하고 브레드 보드에 꾸며야 하고 측정해야 하고 2시간 30분이 너무 짧다. 동작이 안되면 불합격이다. 시간을 충분히 주면 좋으련만....상대평가도 아니고 시험평가의 개선이 필요하다. 나중에 내가 시험출제위원을 한다면 시대..

전자기기 기능장 실기연습(2)

카운터회로는 이상이 없었으나 플립플롭 회로를 보드에 꾸미면서 실수로 전원 +9VDC를 인가해 동작이 이상해졌다. 그런줄도 모르고 IC가 나갔겠지 하고 휴대용 디지탈 멀티메터 태광전자 메이드 인 코리아를 구입해 정전압 출력을 재니 ㄷㄷㄷ7볼트다. 입력을 재니 5볼트다. 점퍼리드선을 날리면서 앞뒤에 전원을 집어 넣었으니...ㅠ IC를 교체하고 새로운 마음으로 동기식 4비트 JK플립플롭단을 다시 꾸몄다. 카운터조건 15->12->5->3->8->9->15로 임의수로 카운터가 제대로 된다. 굿잡! ^^/

브레드보드 회로구성

오랜만에 브레드보드를 구입해서 회로를 구성해 보며 시간측정을 해보고 있다. 조금은 긴장이 되어선지 실수가 많다. 시력도 LED조명제품 개발을 많이 해서 나빠졌다. 그래도 시험은 공개시험이라 도전해 봐야 겠다. 너무 느즈막히 시험을 보는 것 같다. 일만하다 보니 자격시험 공부는 관심이 없었다. 전자분야는 국가자격증 취득해 혜택을 보는 일은 매우 적다. 자격취득은 오로지 자기계발을 우선으로 한다. 전기분야는 사회적으로 쓸모가 많다. 전기공사협회가 있어 자격을 취득한 사람을 고용해야 하고 공사업 면허를 취득해 공사 입찰자격을 얻을 수 있다. 법으로 제정을 해놓다 보니 전자분야를 전공한 사람들 입장에서는 손해를 보는 형편이다. 법적으로 통합이 되어야 한다고 본다. 전자분야도 가전기기 조작과 설치에 자격이 없으면..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