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두 아홉 문제가 출제되었다. 한 시간 반의 수험 시간이 주어졌는데 한 시간 정도의 문제 풀이로 그리 어렵지는 않았다.
전자기기 기능장 실기 필답형 응시는 다종목 응시자들 속에 혼자 시험을 봐야 했다.
현행법으로 자격증 취득자를 의무 고용해야 하는 종목에 수험자들이 치중됨을 느낄 수가 있었다.
전자기기 기능장 자격도 전기기능장과 동등한 사회적 법적인 처우가 되어야 할 것이다.
전자 분야는 전기를 기초로 한 반도체 종합예술로 늘 새롭게 끊임없이 발전한다.
그래서 최고의 기술자라도 배움을 게을리하면 하루아침에 우물 안의 개구리가 된다.
최고의 기능인은 최고의 기술인이 되어야 한다.
노동근로의 최고에서 지식근로의 최고가 되어야 한다.
시험문제 출제된 것을 아래에 나열해 올려 본다. 블로그를 방문해 주신 분들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아 래-
1. 정류다이오드 1N4002의 최대역전압치는? 데이터시트 영문일부참조
Example:1N4007 1000V 1A General Purpose Diode
It can pass currents of up to 1 A, and have peak inverse voltage (PIV) rating of 1,000 V.
2. 부품면, 납땜면, 실크도를 보고 주어진 회로도의 박스 안 회로를 완성하시오.
3.PCB설계 입력데이터로 NET명, 참조자 등의 여러 가지 정보를 포함한 파일은?
4. 트윈 T형 발진회로의 두 개의 박스 안 회로를 완성하시오.
5. 아날로그 멀티테스터로 NPN형의 베이스 단자를 판별하는 방법을 기술하시오.
아날로그 멀티테스터를 사용하여 NPN형 트랜지스터의 베이스 단자를 판별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준비물:
- 아날로그 멀티테스터
- NPN형 트랜지스터
방법:
- 멀티테스터 설정:
- 멀티테스터를 저항 측정 모드(Ω)로 설정합니다.
- 일반적으로 R x 1 또는 R x 10 범위가 적절합니다.
- 단자 확인:
- 트랜지스터의 세 단자(베이스, 컬렉터, 이미터)를 확인합니다.
- 트랜지스터의 데이터시트를 참조하여 단자 배열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지만, 모르는 경우에는 아래 방법으로 찾습니다.
- 저항 측정:
- 멀티테스터의 빨간색 리드(양극)를 트랜지스터의 한 단자에 연결하고, 검은색 리드(음극)를 나머지 두 단자에 차례로 연결하여 저항을 측정합니다.
- 이 과정을 트랜지스터의 세 단자에 대해 모두 반복합니다.
- 베이스 단자 판별:
- 빨간색 리드를 특정 단자에 연결했을 때, 검은색 리드를 나머지 두 단자에 연결했을 때 모두 낮은 저항값이 측정되는 단자가 베이스 단자입니다.
- 이는 NPN형 트랜지스터의 베이스-이미터, 베이스-컬렉터 접합이 다이오드와 유사한 특성을 갖기 때문입니다.
- 즉, 베이스에 양극 전압을 가하면 이미터와 컬렉터 방향으로 전류가 흐르기 때문에 낮은 저항값이 측정됩니다.
주의사항:
- 멀티테스터의 리드를 트랜지스터 단자에 연결할 때 너무 강한 힘을 가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트랜지스터의 데이터시트를 참조하여 정확한 단자 배열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정확한 방법입니다.
- 일부 트랜지스터는 내부 보호 회로로 인해 위 방법으로 정확하게 판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6. 오실로스코프 사용에 있어 정현파측정을 할 때 수직축은 (전압)을 수평축은 시간을 의미한다. 흔들리는 정현파를
조정하여 흔들리지 않게 하는 것을 ( 트리거 ) 제어라고 한다.
7. 발광다이오드(LED) 정전류회로에서 R3저항치는?
주어진 회로는 NPN 트랜지스터(Q2)를 사용하여 LED에 흐르는 전류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정전류 회로입니다. R3 저항은 LED에 흐르는 전류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1. 회로 작동 원리 이해:
- Q2 트랜지스터는 전류 증폭기로 작동하며, 베이스-에미터 전압(VBE)에 따라 컬렉터-에미터 전류(IC)를 조절합니다.
- R3 저항은 에미터 전류(IE)를 제한하고, 이를 통해 IC를 제어합니다.
- LED에 흐르는 전류는 IC와 거의 같으므로, R3 값을 조절하여 LED 전류를 원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2. 필요한 정보:
- 정전류 값: 20mA (0.02A)
- VBE: 0.6V
3. R3 저항값 계산:
- 에미터 전류(IE)는 컬렉터 전류(IC)와 거의 같으므로, IE ≈ 20mA입니다.
- 옴의 법칙(V = IR)을 사용하여 R3 저항값을 계산합니다.
- R3 = VBE / IE = 0.6V / 0.02A = 30Ω
4. 결과:
- R3 저항값은 30Ω입니다.
5. 추가 고려 사항:
- 실제 회로에서는 트랜지스터의 전류 증폭률(hFE)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hFE가 충분히 크다면 위 계산 결과로 충분합니다.
- LED의 순방향 전압(VF)도 고려해야 합니다. VF는 LED의 종류에 따라 다르며, 회로 설계 시 적절한 값을 사용해야 합니다.
- 주어진 회로에서 Q1과 R4는 LED 전류를 안정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D1과 D2는 회로를 보호하는 역할을 합니다.
8.100KHz의 입력클록 주파수를 인가할 때 출력 Q의 주파수는?
9. 저항기 분압회로에서 저항기가 단선되었을 때 측정전압치는?(인가전원전압은 10V)
제시된 회로는 저항 분압 회로이며, R2 저항이 단선되었을 때 출력 전압을 계산해야 합니다.
1. 회로 분석:
- 전원 전압 (BT1): 10V
- 저항 (R1): 100Ω
- 저항 (R2): 100Ω (단선)
- 출력 전압: a-b 사이의 전압
2. R2 단선 시 회로 동작:
- R2가 단선되면 회로는 단순한 직렬 회로가 됩니다.
- R1에만 전류가 흐르고, R2에는 전류가 흐르지 않습니다.
- 따라서 a-b 사이의 전압은 R1 양단의 전압과 같아집니다.
3. 출력 전압 계산:
- 옴의 법칙(V = IR)을 사용하여 R1 양단의 전압을 계산합니다.
- R2가 단선되었으므로 회로에 흐르는 전류는 0입니다.
- 따라서 R1 양단의 전압은 0V입니다.
- a-b 사이의 전압은 0V입니다.
4. 결과:
- R2가 단선되었을 때 출력 전압은 0V입니다.
어제 4월 26일 기능장합격자 발표가 있어 오늘 아침 스마트폰 Qnet 앱에서 확인했더니 필답형 점수가 평소실력으로 응했는데 잘 나왔다. 발진회로 부분의 도시를 잘못한 것이 2점 감점이 되었다.
작업형에서 IC부품 불량이 문제라 십 자리 표기가 변화가 없었다. ㄷㄷㄷ
부품을 미리 확인하고 수험 시
불출을 해주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요즘 경제성 없는 DIP IC를 누가 생산하나?
가짜로 레이저 마킹해 혼입 판매를 할 텐데....,
MADE IN CHINA
한국산업인력공단의 실기작업형 시험문제 출제 수준은 삼십 년 전이고 우물 안 개구리다.
부품불량인지 확인도 안 하고 부품을 불출한다. 벌써 몇번째인가? ㅠ 이대로 언제까지 당해야 하나?
각자 사용하던 부품 준비하게 하고 실기비용을 낮추어야 한다. 짝퉁IC 문제 생길까봐 가져도 가지 못하게 한다.개악의 연속이 아닌 개선이 필요하다.
'전자기능장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기기기능장 실기(작업형) (4) | 2023.04.07 |
---|---|
전자기기기능장 실기 (작업형)D-FF (0) | 2023.04.06 |
전자기기기능장 실기(작업형)연습 (0) | 2023.03.09 |
전자기기기능장 실기작업형 공개문제 (0) | 2023.01.31 |
제72회 전자기기기능장 실기 작업형 (0) | 2022.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