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D조명 및 제어장치 269

태양광 퍼글러 등기구 설치

주간에 태양광 발전으로 축전하여 야간에 조명등을 점등되도록 하는 기능을 갖는 퍼글러 조명설치를 하는 것을 확인하러 현장에 와서 보니 도면과는 상이하게 설계가 되어 있는 것 같았다. 태양전지판도 100와트로 되어 있었는데 200와트 사이즈를 부착토록 되어 있고 축전지는 12V, 100Ah를 한 개 수납하는 것으로 되어 있는데 하부의 수납공간이 협소해 12V, 50Ah를 한 개만 수용할 공간이다. 부하는 80와트 상당한다.우리 한국의 경우 평균 일조시간은 4시간 정도이다. 일일 400와트 전력생산 용량으로는 5시간 사용하고 소등되는 상태가 된다. 날씨가 흐리거나 비가 오는 날은 점등이 안되도록 비를 감지하는 센서가 있어 소등되면 좋은데 그런 기능은 없다. 여름 장마철에는 소등된 시간이 많아진다. 비록 여름이..

태양광LED가로등

핑크 뮬리가 가득한 공간에 경관조명등을 설치하려니 여러 가지로 고려사항이 많았다. 그래서 고민한 가운데 태양광발전으로 경관조명등을 연출하는 것으로 했다. 등기구 설치를 위한 콘크리트 기초대가 850Kg 이상의 중량이다. 우선 기초대를 포클레인 35 용량으로 매설하는 것으로 했다. 색온도는 전구색 3000K를 적용한 등기구로 제작했다. 비대칭 가로등 렌즈를 채용한 배광이라 각도 조절이 등기구마다 필요해 각도조절기를 추가 부착토록 했다. 가로등기구와 RGBW의 경관투광등기구는 무선원격제어로 조명연출되게 해 핑크뮬리로 가득한 정원이 최대한 손상되지 않도록 구상을 했다. 잘 되어야 할 텐데....,

DMX/0~10V변환기

DMX통신으로 4 채널의 0~10V출력제어되는 변환기이다. 백색 LED등기구나 모터를 4개 제어할 수 있는 변환기라고 생각하면 된다. 회로구성은 RS-485 통신부와 채널선택부, 표시부, 출력변환부, 전원입력부, 스텝다운전원부와 이들을 제어하는 8비트의 마이크로컨트롤러(MCU) 부로 구성되었다. 표시부와 스위치 조작부는 고속의 시스템 내부통신 확장성이 용이한 I2C방식으로 MCU 간의 통신이 적용된 상태다. It is a converter that is controlled by DMX communication from 0 to 10V output of 4 channels. Think of it as a converter that can control four white LED lamps or motors..

석재볼라드 LED등기구

전구색 3000K 켈빈의 색온도 LED패키지 적용으로 석재 볼라드 등기구를 제작해 설치가 되도록 했다. 보안등기구로 인해 사진촬영이 어렵다. 경관조명등기구를 점등시는 꺼져 있는 것이 나을 듯하다. 눈으로 보는 것은 실제 그렇지 않은데 동영상이나 사진촬영에는 방해요인이 된다. 종래 어두웠던 산책로가 환해졌다. 많은 사람들이 오가는 길이 되었다. 아직도 어두운 공원이 너무 많다. 배광을 고려하지 못한 LED램프를 사용하다 보니 빛이 허공에 흩어져 실제 하향으로 비추는 빛이 없다. 렌즈가 부착된 램프를 사용해 하향으로 비추게 하거나 반사갓을 씌워야 한다.

MR-16 LED LAMP 3Watts

MR-16으로 종래는 10와트급의 할로겐램프를 사용했던 것을 저소비전력의 3와트급 LED램프로 대치가 된 형태이다. LED전구는 백열전구 대비 열로 소모되는 것이 10배 이하이다. 청색발광의 반도체 칩과 백색구현 형광체의 발명으로 세계 조명시장이 발광다이오드 LED적용으로 급변환 되고 있다. 램프 내부는 정전류회로가 기본이다. 그런데 과연 내장되어 있을지 의문인데 실외용으로 사용을 해야 하기에 우선 방수가 되도록 실리콘제를 부어 코팅이 되도록 했다. 커넥터핀은 주석땜을 해서 리드선을 연장하고 땜부위는 실리콘 코팅을 하는 것을 고려했다. 태양광발전으로 2차 전지에 축전해서 LED Lamp를 점등하는 것을 제작하는 과정이다.

728x90